독서와 고전 활용 7

[대학] "제가(齊家)"를 통해 본 대한민국의 현재 정세

*대학(大學)*은 유교 사상의 대표적 경전으로, 인간의 자기 수양과 사회적 질서를 정립하는 길을 제시합니다. 그중에서도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는 개인의 수양에서 시작해 가정을 다스리고, 국가를 경영하며, 천하를 평화롭게 한다는 이상적인 삶의 방향을 가르칩니다. 이 중 "제가(齊家)"는 가정을 바르게 다스리는 일이 곧 나라를 다스리는 기초가 된다는 깊은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대학 8조목에서 강조하듯, "한 사람이 탐욕에 빠져 도리에 어긋난 일을 일삼으면 한 나라에 혼란이 일어난다"는 가르침은 오늘날의 사회적 혼란과 위기를 되돌아보게 합니다.---1. 사소한 악행이 부른 큰 파장대학은 작은 탐욕이나 잘못된 행동이 큰 혼란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이는 오늘날 우리 사회가 직면한 다..

[대학] 성의(誠意) 현대인의 중독 극복을 위한 철학적 접근

현대 사회에서 중독은 알코올, 스마트폰, 게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개인의 삶과 사회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중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의학적 치료를 넘어, 개인의 내면적 성찰과 의지 강화가 필요합니다. 유교 경전인 《대학(大學)》에서 강조하는 **성의(誠意)**의 개념은 이러한 내면적 성찰과 의지 강화를 위한 철학적 지침을 제공합니다.성의(誠意)의 의미와 중요성《대학》에서 성의는 '뜻을 성실하게 한다'는 의미로, 자신의 생각과 의지를 진실되고 정직하게 유지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는 자기 자신을 속이지 않고, 내면의 진실한 동기를 파악하며, 이를 통해 올바른 행동으로 이어지게 만드는 힘을 의미합니다. 특히 신독(愼獨), 즉 혼자 있을 때에도 도리에 어긋남이 없도록 언..

[대학] 정심(正心) 감정을 다스려 내면의 평온과 조화를 이루는 길

《대학(大學)》은 유교 철학의 핵심 경전으로, 인간의 내면 수양에서 시작해 사회의 조화와 평화를 이루는 실천적 지침을 제시합니다. 이 중 **정심(正心)**은 "마음을 바르게 한다"는 뜻으로, 감정과 욕망을 절도와 도리에 맞게 조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정심의 본질: 감정과 도리의 균형정심은 "감정이 일어나더라도 그것이 절도에 맞아야 한다(發而皆中節)"는 가르침에서 출발합니다. 기쁨, 분노, 슬픔, 즐거움과 같은 감정은 인간에게 자연스럽게 생겨나는 것이지만, 그것이 지나치거나 모자라지 않도록 조화롭게 다스려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의 내면을 평온하게 하고, 사회적 관계에서도 균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정심의 실천 방안1. 욕망의 절제과도한 욕심을 경계하고 균형 잡힌 삶을 추구합니다.예시: 승진..

후흑학 : 인간관계와 비즈니스를 이해하는 또 다른 시각

"얼굴은 두껍고 마음은 검다."이 말은 중국 고전 **'후흑학(厚黑學)'**의 핵심 개념을 요약한 것입니다. 후흑학은 청나라 말기의 학자 **이종오(李宗吾)**가 저술한 책으로, 인간 관계와 권모술수를 설명하는 독특한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처음 이 책을 접했을 때, 저는 후흑학의 개념이 상당히 충격적으로 다가왔습니다.'얼굴은 두껍고(面厚)', '마음은 검다(心黑)'는 표현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윤리적 인간관계와는 거리가 멀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 책을 세 번 이상 읽으며, 저는 다른 관점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후흑학의 핵심 개념후흑학은 **면후심흑(面厚心黑)**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인간 관계와 비즈니스에서 성공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합니다.1. 면후(面厚)얼굴이 두껍다는 것은, 자신의 이익..

총, 균, 쇠를 넘어: 한국이 선진국이 된 6가지 이유, 총균쇠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는 문명의 발전을 환경적, 지리적 요인으로 설명합니다. 하지만 한국은 이와 다른 길을 걸어왔습니다. 자원이 부족하고 작은 땅에서 선진국으로 도약한 한국의 비결은 무엇일까요?---1. 교육과 인적 자원자원이 부족한 한국은 교육에 집중, 인재 양성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끌었습니다.세계 최고 수준의 교육열이 지식 기반 경제의 초석이 되었습니다.---2. 전략적 경제 정책정부 주도의 산업화(수출 중심 정책)와 특정 산업(조선, 반도체, 중화학 공업)에 대한 투자로 빠르게 경제 기반을 확립했습니다.---3. 문화적 특성“빨리빨리” 문화와 위기 극복의 공동체 의식이 혁신과 적응을 가속화했습니다.국민적 협력이 외환위기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습니다.---4. 외..

한비자와 직장 처세: 법, 술, 세로 배우는 성공 전략, 법술세

1. 책 소개: 한비자의 법, 술, 세란?한비자는 인간 본성과 조직의 본질을 꿰뚫어보며 법(法), 술(術), **세(勢)**를 조직과 권력을 운영하는 세 가지 핵심 원칙으로 제시했습니다.이 개념은 현대 직장에서 실력과 처세, 권력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힌트를 제공합니다.법(法): 조직의 규칙과 제도를 지키며 공정하게 일하는 것.술(術): 상대를 파악하고 심리적, 전략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세(勢): 자신의 위치와 상황을 활용해 영향력을 극대화하는 것.---2. 법술세를 직장 처세로 풀어내기1) 법(法): 규칙을 따르고 공정성을 지켜라한비자의 가르침:법은 조직의 규칙과 기준을 뜻하며, 모든 구성원이 공정하게 대우받아야 한다고 강조합니다.직장 사례:회사의 규정과 정책을 철저히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행동..

중용에서 배우는 학습과 몰입의 지혜: 끝까지 해내는 법

1. 노력하는 방법: 끝장을 보는 자세1) 다른 사람이 한 번에 해내면, 나는 백 번 한다"인일능지 기백지(人一能之 己百之)"라는 말은 천재적 재능보다 끈질긴 노력이 더 중요함을 강조합니다.타고난 능력의 차이는 있지만, 꾸준히 반복하고 노력하면 결국 원하는 목표를 이룰 수 있습니다.2) 다른 사람이 열 번에 해내면, 나는 천 번 한다"인십능지 기천지(人十能之 己千之)"는 노력의 질과 양이 성공의 비결임을 가르칩니다.빠른 성공을 기대하기보다는, 천천히 하지만 끝까지 해내는 자세를 가지세요.3) 군자의 학문: 한번 시작하면 끝을 본다"군자지학 불위즉이, 위즉필유기성(君子之學 不爲則已 爲則必有其成)"이라는 말은 군자는 학문을 시작하지 않으면 몰라도, 시작하면 반드시 끝까지 완성한다고 가르칩니다.이는 절반의 노..